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ubstring
- 프로그래머스
- DB연결 문제
- 자바
- Join
- Java
- 생성자
- 제어문
- 작성순서
- 외부접속 차단
- SQL
- for문
- 상속
- ifelse
- HAVING
- system error 113
- 칼럼명에 별칭 지정
- 생성자쓰는이유
- SELECT 절
- 이터레이블
- 겟터
- 객체
- .repeat
- int오류
- 오라클
- 삼항연산자
- setter
- getter
- 연산자
- mixedcontent
- Today
- Total
목록JavaScript/JavaScript 이론 (9)
CoDream

JSON 데이터를 표현하고 전송하기 위한 경량의 데이터 교환 형식입니다. 이는 사람이 읽고 쓰기 쉽고, 기계가 파싱하고 생성하기도 쉽습니다. JavaScript의 객체 표기법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지만, 언어에 종속되지 않으며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지원됩니다. 경량의 데이터 교환 형식으로서, 사람이 읽고 쓰기 쉽고, 기계가 파싱하고 생성하기도 쉬운 형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JavaScript의 객체 표기법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지만, 언어에 종속되지 않으며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지원됩니다. JSON은 키-값 쌍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쌍들은 중괄호 **{}**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키와 값은 콜론 **:**으로 구분되고, 각 쌍은 쉼표 **,**로 구분됩니다. 값으로는 문자열, 숫..

정규표현식 문자열에서 패턴을 검색하거나 매칭하는 데 사용되는 형식적인 언어입니다. 이는 문자열에서 특정 패턴이나 조건을 찾거나 변형하는 데 유용합니다. 정규 표현식은 일련의 문자와 메타 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d+/는 하나 이상의 숫자를 나타내는 패턴입니다. 여기서 \d는 숫자를 나타내는 메타 문자이고, +는 앞의 패턴이 하나 이상 나타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정규 표현식은 다음과 같은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문자열 검색과 매칭: 주어진 문자열에서 특정 패턴을 검색하거나 매칭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 치환: 주어진 문자열에서 특정 패턴을 다른 문자열로 치환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 분할: 주어진 문자열을 특정 패턴을 기준으로 분할할 수 있습니다. 유효성 검사: 입력된 데이터가..

객체 객체 생성 객체는 중괄호 **{}**를 사용하여 생성하며, 키-값 쌍의 속성을 포함합니다. var person = { name: "John", age: 30, isStudent: false }; 메서드 객체에는 속성으로 함수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함수를 메서드라고 합니다. var person = { name: "John", greet: function() { console.log("Hello, my name is " + this.name); } }; person.greet(); // "Hello, my name is John" 속성 순회 for...in 루프를 사용하여 객체의 모든 속성을 순회할 수 있습니다. for (var key in person) { console.log(key + "..

isFinite() 주어진 값이 유한한(finite) 숫자인지를 판별합니다. Infinity나 -Infinity, NaN이 아닌 숫자 값이면 true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이 함수는 Infinity 값이나 NaN 값을 방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isNaN() 주어진 값이 NaN(Not-a-Number)인지를 판별합니다. 주어진 값이 숫자가 아니거나 숫자로 변환할 수 없는 경우에 true를 반환하고, 숫자인 경우에는 false를 반환합니다. 이 함수는 숫자가 아닌 값을 방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eval() 문자열로 표현된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합니다. 주어진 문자열을 JavaScript 코드로 해석하여 실행하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보안 문제와 코드의 가독..

선언적 함수 함수를 선언하고 정의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함수 이름이 있고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됩니다. function greet(name) { console.log('Hello, ' + name + '!'); } greet('World'); // 출력: Hello, World! 익명 함수 이름이 없는 함수입니다. 주로 다른 함수 내에서 사용되거나 즉시 호출됩니다. const greet = function(name) { console.log('Hello, ' + name + '!'); }; greet('World'); // 출력: Hello, World! 자동실행 함수 * 잘 안씀 함수가 정의되자마자 즉시 실행되는 함수입니다. 주로 전역 범위에서 변수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JavaScript 기본 문법 변수와 자료형 변수는 var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하며, 리터럴에 의해 자료형이 결정됩니다. 자료형으로는 문자열(string), 숫자(number), 논리값(boolean), 객체(object), 함수(function), 그리고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undefined) 등이 있습니다. var name = "John"; // 문자열 자료형 var age = 30; // 숫자 자료형 var isStudent = true; // 논리값 자료형 var person = { name: "John", age: 30 }; // 객체 자료형 function greet() { console.log("Hello!"); } // 함수 자료형 var uninitializedVar; // 초기화되지..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는 웹 문서를 동적으로 다루기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웹 페이지의 요소를 조작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며,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웹 페이지의 내용을 동적으로 변경하거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자바스크립트는 다양한 기능과 문법을 제공합니다. 변수, 연산자, 제어 구조(if문, 반복문), 함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등을 지원하여 프로그래밍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내장 함수와 제어 구문 console.log(): 콘솔에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prompt():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청하고 입력값을 받아옵니다. confirm(): 사..

배열 배열의 자료형에 대한 제약이 없으며, 배열의 크기를 지정하거나 지정하지 않고 선언할 수 있습니다. 배열 선언 및 초기화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배열을 선언할 때 자료형을 지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배열 안에는 모든 자료형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습니다. 배열을 선언할 때 크기를 지정하지 않고도 선언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빈 배열로 초기화됩니다. 배열을 선언할 때 크기를 정하고 선언할 수도 있습니다. javascriptCopy code // 배열 선언 및 초기화 const array1 = []; // 크기를 지정하지 않고 빈 배열로 초기화 const array2 = [1, 'hello', true]; // 다양한 자료형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열 const array3 = new Array(); // 크기..

var var는 JavaScript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키워드입니다.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며, 해당 변수의 스코프를 결정합니다. var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하면 해당 변수는 현재 스코프(함수 또는 전역 스코프)에 속하게 됩니다. 즉,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는 그 함수 내에서만 유효하며, 전역으로 선언된 변수는 코드 전체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var를 사용하여 변수 x를 선언하는 예시입니다. // 변수 x를 선언하고 값 10을 할당 var x = 10; // 변수 x의 값을 출력 console.log(x); // 출력: 10 위 코드에서 var x = 10;은 변수 x를 선언하고 값 10을 할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후에 console.log(x);를 통해 변수 x의 값을..